신생아 작명

이름 작명의 중요성

이름 작명의 중요성

인사유명(人死遺名), 호사유피(虎死留皮)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상대에게 자신을 밝히는 이름은 첫인상 결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예쁘고 부르기 좋은 이름작명은 상대에게 호감을 불러일으키고, 어감이 좋지 않은 이름은 타인에게 비호의적인 반응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문화권은 사람의 이름에는 에너지가 깃들어 있다고 믿는다. 때문에 좋은 이름으로 이름작명해 의미가 담긴 글자를 매일 부르면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신상춘 외 2인의 「이름이 인성과 삶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이름글자가 개인의 자존감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름이 갖는 상징적인 힘으로 인해 학업성적, 직업, 배우자, 거주지 선정 등과 같은 결정에 무의식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정적인 이름으로 인해 개인이 경험하는 차별, 편견, 방치와 같은 인생사가 자존감 저하와 질병유발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성명학에 기반한 전문적인 작명법을 통해 이름을 작명해 타인으로부터 반복되어 불리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좋은 운이 향상되고 이름의 기를 북돋아 성공적인 삶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작명은 개인의 인격형성과 자존감향상에 직결되어 있으므로 보다 신중하고 현명하게 이름작명을 해야 한다.


이름작명의 역사

우리나라는 신라시대 경덕왕 때부터 한자식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통일신라시대 이후 지금과 같이 성(姓)을 나타내는 1글자와 이름(名)을 나타내는 2글자를 조합한 성명(姓名)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성과 이름을 조합한 이름작명법은 고려시대까지도 귀족이나 관료계급 즉 일부 특권 계층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민이하 계급은 이름만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성과 이름을 모두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 이후로, 조선 중기까지 성을 가진 사람들은 전체백성의 55%정도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조선말기인 1909년, 민적법(民籍法)이 시행되면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성(姓)과 이름(名)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과거 우리나라는 가문을 중시하던 풍습이 있어 양민 이상의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항렬자를 따르는 방식을 사용해 이름을 작명 했다. 항렬자를 따르는 유형은 매우 다양한데, 오행, 십이지, 28개 별자리 등으로 나눠 가문별 일정한 항렬자를 미리 정해 족보에 명시하고, 아이가 태어나면 규정된 항렬자에 맞춰 이름자를 추가해 전체 이름을 작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같은 성씨라 하더라도 파에 따라 다른 항렬자가 규정되어있어, 돌림자만 보아도 어느 계파인지를 알 수 있게 체계화 되어 있음이 특징이다. 하지만 양민이하의 계급이나 여성들은 이러한 항렬자 적용에서 제외되었는데, 항렬자 적용에서 제외되는 이름작명의 경우, 부모의 소망, 출생시기 등의 특징을 담아 이름을 지어주었다. 

[자료출처: 이복규, 한국인의 이름에 대하여, 온지논총, 2007,vol.,no.16.]


이름작명의 중요성

이름은 어떤 사람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여 특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그 사람의 인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그 사람의 사회생활을 구성함과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의 각종 사회생활 관계의 연결매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타인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사회적 관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한자문화권인 우리나라의 경우 예로부터 이름이 개인의 정체성 및 가문의 정통성을 드러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 이름작명을 보다 신중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갓 태어난 아기를 위한 작명시에는 아이가 평생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아기사주의 좋은 기운은 더욱 북돋아주고, 부족한 오행을 보완하여 사주오행이 조화를 이룬 성명학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이름작명을할 때 단순히 한자의 음과 뜻을 단순히 조합해 지어 부르는 것은 성명학원리에 맞지 않아 평생의 운에 해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다 신중하게 이름작명에 신경 써야 한다.


아기이름 작명시 유의사항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아기이름 작명시 나라이름, 관직이름, 강이나 산이름, 질병이름, 가축이름, 그릇이나 물건이름 등을 아기이름으로 작명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것들은 일상대화 중에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이기 때문에, 남의 입에 자주 오르내려 구설수에 휘말릴 수 있음을 우선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또한 발음 또는 뜻을 반영해 순한글로 아기이름을 짓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점은 매우 유의해야한다. 귀여운 발음과 순수한 한글 단어 뜻 자체에 의미를 두어 이름을 지어 부를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귀여운 이름이미지와 성인의 이미지가 어울리지 않아 당혹스러운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시스템에 한자를 등록할 수 없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발음상 한글이름처럼 불리어지고 싶다고 하더라도 단어 뜻으로 아기이름을 짓는 것이 아닌, 성명학에 의한 한자어를 반영해 부르기 쉽고, 예쁜이름을 아기이름으로 작명할 것을 권한다. 


책 속에서 이야기하는 이름작명의 중요성

「카네기 인간관계론」

일단 한번 지어지면 수없이 불러지는 이름은 사람이 입고 있는(좀처럼 벗기 어려운)외투와 같고, 외양의 일부가 되어서 본명인의 특성과 정체성을 밖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람들이란 지구상의 이름을 다 합친 것보다도 자신들의 이름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당사자에게는 자신의 이름이 세상 그 어떤 말보다도 가장 듣기 좋고 가장 중요한 말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자신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그 이름을 영원히 명예롭게 남기고 싶어 하는 것이다. 

[자료출처: 데일 카네기, 「카네기 인간관계론」, 최염순 옮김(카네기연구소, 2003), 120~128p.]


「종합 탈무드」

인간에게는 이름이 세 개 있다. 태어났을 때 부모가 지어준 이름, 우정에서 우러나 친구들이 부르는 이름, 생애가 끝났을 때 얻게 되는 명성이다. 

[자료출처: 마빈 토케이어 외, 「종합 탈무드」, 전풍자 옮김(범우사, 2000), 93p ]


「노자의 마음으로 도덕경을 읽다」

이름이 없으면 천지의 처음이고, 이름이 있으면 만물의 어머니(로서 이후 모든 존재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정대철, 「노자의 마음으로 도덕경을 읽다」, ), 한얼미디어, 2004, 17p. ]


이름작명시 한자사용의 유의점

우리나라는 성명학에 기반해 이름자를 한자로 정하여 이름작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수 만자에 달하는 한자들 가운데 이름작명에 사용할 수 있는 한자와 사용할 수 없는 한자가 구분되어 사용되어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대법원은 인명용 한자를 지정해 이름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한자는 이름에 사용할 수 없다. 이를 불용문자라 부르는데, 불용문자는 대게 불길한 뜻을 품은 글자나, 좋지 못한 글자를 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한자는 사물의 개념을 표기하는 표의문자로 하나의 한자에 여러 가지 뜻이 내포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법원에서 정한 인명용 한자라 하더라도, 여러 가지 의미 중 부정적인 의미의 뜻이 내포되어 있는 한자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다. 

따라서 부정의미가 우선되는 한자일 경우 인명용 한자라 하더라도 이름작명에 활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나의 한자어에 속한 여러 의미 중 부득이하게 부정의미가 포함된 한자를 사용하게 될 경우라 하더라도 의미적 측면에서 긍정적 의미를 우선 해석하고, 그에 걸맞는 자원오행에 맞춰 이름작명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자원오행

사주(四柱)오행과 조화를 잘 이루어야 한다. 

사주는 몸이요 이름은 옷이니 좋은 옷을 입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타고난 사주는 바꿀 수 없으나 이름은 부모나 본인의 정성만 있으면 성명학(姓名學)적으로 얼마든지 좋은 이름을 지어 부를 수 있다. 좋은 이름의 중요한 요건은 사주를 보완하는 이름이 되어야 하며. 타고난 사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글자를 취하여 작명을 해야 한다. 본인의 사주에 火(氣)가 부족하다고 하면 불(火)변을 써서 기운을 보충하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다. 


자원오행 판별법 


오행 의  (예)

木   艸   艹   禾   米   竹   糸   宀   广   示   手   廴   의 부수 

根   苑   花   穆   糧   範   紋   宣   廣   祉   振   建  등의 글자

오행 의 (예)

火   灬   日   人   亻   心   忄   亠   彳   工   見   走  의 부수 

炫   熏   昊   今   俊   志   性   京   德   巧   規   起  등의 글자 

  오행 의 (예)

土   山   女   阜   邑   辶   止   力    寸   足   羊  의 부수 

埈   峴   娜   陞   部   道   步   助    對   蹟   美  등의 글자

  오행 의 (예)

金   王   言   貝   刂   石   攵   白   音   皿   韋   辛  의 부수 

鐘   現   誠   財   剋   碩   敬   皓   韻   盡   韓   辨  등의 글자

 水 오행 의 (예) 

水   氵    冫   口   口    尸   又   子   雨   月   穴  의 부수

法   深    准   國   和    尹   受   孫   雲   有   究  등의 글자


수리오행

길(吉)수로 이루어져야 한다. 

수리 배치가 잘 되어야 좋은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수리(획수)는 元格(초년운) 亨格(중년운) 利格(말년운) 貞格(총운)으로 나뉘는데 한 인생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수리로 인생의 길흉 (吉凶)을 판단하는데, 어느 한 부분이라도 흉(凶)수 가 있다면 좋은 이름이라고 보기 어려우니 필히 좋은 길(吉)수로 작명을 해야 한다. 수리학에서 수리오행이란 글자의 획수를 따져 길수와 흉수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리오행의 4격원리

원격  초년운 / 형격  중년운 / 이격  말년운 / 정격  총격운


발음(음령) 오행

서로 상생(相生)관계여야 한다.

이름의 발음은 매우 중요하다. 또 발음은 서로 잘 어울리는 상생(相生)관계와 서로 어울리지 않는 상극(相剋)관계로 나눌 수 있는데, 소리와 더불어 이름의 음(音)오행이 서로 상생관계(相生關係)가 되어야 좋은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성명학은 사주학(자원오행)과 수리학(수리오행), 발음학(발음오행)에는 기초하는데, 오행에는 영(靈)이 깃들어 있어 그에 부합하는 좋은 이름을 지어 부르면 좋은 기(氣)를 이어받아 한 사람의 인생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성명학 체계에 능한 성명학자를 통해 좋은 이름을 작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성명학에서 발음오행이란 소리를 가지고 상생과 상극을 구분하여 좋은 이름의 발음은 서로 상생의 관계가 되어야 좋은 영향을 미치며 상극은 피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좋은 이름이란 이름의 발음오행이 서로 상생관계 관계여야 그 사람의 운명에 좋은 기운을 얻는다고 한다.


<발음오행의 적용>

 오행

발음 

 목(木)

 ㄱ  ㅋ

 화(火)

 ㄴㄷㄹㅌ

 토(土)

 ㅇㅎ

 金(金)

 ㅅㅈㅊ

 수(水)

 ㅁㅂㅍ


<발음(음령) 오행의 생생과 상극 관계> 

 목(木) 은 불(火)을 생하고

 목(木) 은 토(土)를 극한다

 불(火) 은 토(土)를 생하고

 불(火) 은 금(金)을 극하고

 토(土) 는 금(金)을 생하고

 토(土) 는 물(水)을 극하고

 금(金) 은 물(水)을 생하고

 금(金) 은 목(木)을 극하고

 물(水) 은 목(木)을 생하여

 물(水) 은 불(火)을 극한다